1만 시간의 법칙의 오류 (2)
무조건 1만시간을 채우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
하루 1시간씩 30년을 노력해서 1만 시간을 채웠다면 원하는 분야의 프로가 되었을까요?
하루 1시간씩 30년을 노력해서 1만 시간을 채웠다면 기타의 고수가 되었을까요?
.
.
여러분이 1만 시간을 채운다는 것에만 초점을 두고 기한을 너무 길게 잡는다면 노력에 비해 성과를 내기가 힘듭니다. 1만 시간의 법칙에서 첫 번째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얼마나 많이 피크(정점)를 찍고 넘어서는 날을 보내느냐 입니다.
사실 하루 1시간을 노력하는 것도 당연히 쉽지 않은일이지만 어느 정도의 수준이 넘으면 1시간은 그렇게 긴 시간이 아닙니다. 예를들어 직접 1시간동안 기타연습을 얼마나 할 수 있을지 직접 스톱워치로 시간을 재보겠습니다.
1시간 동안 기타로 연습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외워서 악보없이도 칠 줄 아는 핑거스타일 기타곡 19곡 이었습니다.
철저하게 중간에 카톡이나 문자 변칙 튜닝하는 시간 등등은 stop을 하고 기타를 칠 때만 시간을 쟀습니다. 시간을 재기 전에는 최대한 20곡까지는 연주가 가능할 줄 알았는데 딱 19곡 까지가 정확하게 1시간 4초 걸렸습니다.
.
.
핑거스타일 19곡을 한 번씩 연주한 것 이외에 이론적인 연습이나 새로운곡은 손도 못대보고 게다가 전공 악기인 클래식기타와 제일 좋아하는 기타인 일렉기타는 꺼내보지도 못했습니다. 이미 할 줄 아는 것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실력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실력이 늘어나려면 연습을 시작한 날에는 자기 실력의 피크(정점)를 찍는 걸 느낀 후의 연습시간을 갖어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악기를 연습하는 사람들은 연륜이 쌓일수록 자신의 실력을 높이려면 필연적으로 연습시간이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헬스장에서 근육을 키우고 싶은 사람들이 더이상 아령을 하기 힘든 정점의 횟수에서 이를 악물고 몇 개 더 추가로 하는 개수만이 근육의 생성으로 연결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1시간씩 손만푸는 30년이 반복되면 저는 과연 기타의 고수가 될 수 있을까요?
그냥 현상유지하는 실력으로 제자리일까요?
1만 시간의 법칙의 오류 두 번째는
.
2. 얼마나 빨리 1만 시간을 채우느냐 입니다.
.
1만 시간을 채우되 가능한 기한을 짧게 잡는 사람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20살 동갑의 A와 B가 있습니다. A는 대학 4년간 1만 시간을 채웠고 B는 하루 1시간씩 50살이 되어서 1만 시간을 채웠을 경우 A의 대학4학년때 실력과 B의 50세때 실력을 비교하면 그야말로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분야도 그렇겠지만 악기만큼 나이에 따른 격차가 심한 분야도 없습니다.
여기서에서 또 1만 시간의 법칙의 오류 세 번째가 나타납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의 세 번째 오류는
.
3. 얼마나 나이가 어렸을 때 1만 시간을 채우느냐 입니다.
.
1살이라도 어렸을 때 하는 연습은 해가 갈 수록 큰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들어 20세 대학생과 19세 고3학생이 똑같이 기타를 시작하여 5년간 1만 시간을 똑같이 채웠다면 19세 시작한 학생의 실력이 훨씬 월등합니다. 30세 직장인과 26세 복학생이 똑같이 기타를 시작하여 5년간 1만 시간을 채웠다면 26세 시작한 복학생의 실력이 훨씬 월등합니다.
혹시 이글을 보고 그럼 우리아이는 태어나자마자 기타를 시켜야겠네!? 라고 생각하는 부모님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많은 학생을 만나본결과 유아부터 초3까지는 여러가지 이유로 오히려 악기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초등 4학년부터를 시작 나이로 잡는 게 좋습니다.
물론, 언제나 재능이 특출난 사람은 예외로 둬야합니다.
여기서에서 또 1만 시간의 법칙의 오류 네 번째가 나타납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의 네 번째 오류는
.
4. 뛰어난 재능은 1만 시간을 거스른다.
.
뛰어난 재능을 갖고있는 사람의 100시간은 재능이 없는 사람의 1만 시간의 성과를 쉽게 따라 잡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1만 시간의 법칙은 범인들만의 리그입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의 가장 큰 오류를 빼먹었습니다.
이것이 1만 시간의 법칙의 오류 마지막 다섯 번째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5. 음악인은 경주마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
어느 분야에서든 1만 시간에 도달하지 못할 것 같다면 아예 시도하지 않는 것이 수고를 더는 것일까요?
1만 시간에 도달하지 못해서 프로의 기타 실력을 갖추지 못할 것 같다면 기타 연습을 하지 말아야할까요?
1만 시간의 법칙을 발견한 앤더스 에릭슨과 그것을 인용한 말콤 그래드웰은 악기를 얼마나 잘 다루는가를 기준으로 아마추어와 프로로 나눴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기준에 미치지못한 아마추어 바이올리니스트들도 1만 시간같은 것은 생각하지도 않고 자신만의 음악을 하고 있었을겁니다.
자신의 음악을 하고 시간을 보내는데 있어서는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모호해집니다.
아무리 특출난 재능이 있는 천재의 100시간이 일반인의 1만시간을 따라잡는다고 해도 1만 시간동안 자신을 담은 시간은 누구도 대신할 수 는 없습니다.
어차피 음악이란 자신을 보여주는 일이기 때문에 자신을 표현할 만큼의 수준이 필요할 뿐이며 그 수준이라는 것도 지극히 개인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음악을 하며 스스로 즐겁기 위해서 연습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면
굳이 1만 시간을 채우는 것은 의미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여러분도 1만 시간의 법칙 같은 것은 신경쓰지말고
즐겁게 기타연습을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