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실평수 계산법을 알아보자.
실평수 계산에 앞서서 평수라는 단어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평수는 부동산이나 주택 구매, 임대 또는 인테리어 디자인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평수계산 이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평수(坪數)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공간의 크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계산법 입니다.
평수는 일본어에서 유래한 단위로, 주로 대형 지도나 주택 등의 면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1평은 약 3.3058 제곱미터에 해당하며, 1평은 3.3m × 3.3m의 정사각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평수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부동산 거래나 주택 설계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평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하여 평수를 구합니다.
예를 들어,
가로 5m와 세로 4m의 공간의 평수를 계산하려면,
5m × 4m = 20평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평수와 분양평수 계산
주택의 경우, 전체 면적을 평수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종종 사용하는 실제 사용 면적을 평수로 계산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실평수 라고 하는 것입니다. 때는 주택 내 각 방의 면적을 구하고, 그 값을 모두 더하여 총 평수를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평수는 주택 내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며, 인테리어 디자인이나 가구 배치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 시에는 평수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고려되며, 가격 산정이나 계약 조건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수는 집을 매입할때 등기부등본 표제부의 건물란에 표기되어있습니다.
예를들어
85제곱미터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이집의 실평수는 32평 입니다.
<실평수 계산법>
실평수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평은 3.3제곱미터입니다.
그래서 85를 3.3으로 나누면 25평이 됩니다.
(실평수) : 85 ÷ 3.3 = 25평
<분양평수 계산법>
그런데 부동산 시장에서는 분양평수로 계산을 하는데요.
실평수 X 1.3 = 분양평수(공급평수)
위와 같은 공식이 적용되므로
(분양평수) : 25 X 1.3= 32평 으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다.